항암제 3

2030년 대세 시장은? 항암제 vs. 비만치료제

제약업계에서 유명한 시장조사기관인 Evaluate의 2024 World Preview Report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030년에 어떤 약물과 프로젝트가 대세가 될 것인지에 대한 예측 전망이 담겨있다. 항암제는 비만과 당뇨병 치료제, 특히 노보 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의 상승세로 2030년까지 총 1,00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여 상위 의약품 중 일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만 및 당뇨병 치료제는 릴리의 터제파타이드(Tirzepatide, GLP-1/GIP) 제품인 마운자로(Mounjaro)와 젭바운드(Zepbound), 노보의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GLP-1) 기반 오젬픽(Ozempic), 위고비(Wegovy) 및 최신 후보 약물인 카그리세마(Cagrisema, Amyli..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FDA 승인은?

작년 2023년 HLB의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간암 병용요법으로 FDA에 신청했으나, 2024년 5월 17일 FDA 승인 거절당한 뒤, BLA 재제출 권고받아 재신청을 계획하고 있다고 알려졌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주식시장이 들썩이기도 했는데요. HBL에서는 리보세라닙의 임상 지적사항보단, 중국 내 캄렐리주맙 및 리보세라닙 제조를 담당하는 항서제약에서의 GMP 제조 이슈에 대한 FDA 지적사항이라고 밝혔습니다.  # 요약중국 항서제약의 자회사 선카디아는 FDA로부터 PD-1 억제제 캄렐리주맙과 VEGFR 억제제 리보세라닙 병용요법 허가신청 거절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 10가지 중대한 제조상 문제점을 지적받았습니다. 또한 항서제약 시설에서 생산 중인 리보세라닙도 별도의 FDA 경고장을 받는 등 전반적인 제조 ..

[제약/바이오] 항암제 종류

항암제 종류 항암제는 암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데 사용되는 약물이다. 항암제는 다양한 약물로 구성되며, 각기 다른 작용기전과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항암제는 화학요법, 생물학적 치료, 표적 요법 및 면역요법과 같은 암 치료 방법에 사용된다. 화학요법: 화학요법은 암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방해하는 약물을 사용하는 치료 방법으로 일반적인 화학요법 약물은 알킬화제, (항) 대사제, (항) 미토콘드리아제, (항) 튜불린제 등이 있다. 생물학적 치료: 생물학적 치료는 암세포를 억제하거나 죽이기 위해 생물학적 반응을 이용하는 치료법이다. 이는 항체-약물 결합체, 세포독성 항체 등이 포함되며, 현재 많이 개발되고 있는 치료제 중에 하나이다. 생물학적 치료제는 표적 요법 치료제에서 고안된 항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