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슈 3

[제약/바이오] 항암제 투약 페러다임, IV에서 SC 제형으로의 변화

면역항암제란 면역항암제는 암세포와 면역계의 상호작용을 조절하여 암세포를 제거하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항암제이다. 면역항암제는 T세포, B세포, NK세포 등 면역계의 세포들을 촉진하거나, 면역조절 단백질인 PD-1, PD-L1, CTLA-4 등을 억제하여 면역계의 반응을 증강시킨다. 면역항암제는 기존의 항암제와는 달리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면역계를 증강시켜 암세포가 면역계에 의해 제거되도록 돕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면역항암제로는 PD-1 억제제인 Pembrolizumab(Keytruda), Nivolumab(Opdivo), Cemiplimab(Libtayo)과 Camrelizumab(AiRuiKa), PD-L1 억제제로는 Atezolizumab(Tecentriq), Durval..

[제약/바이오] 면역항암제 (Cancer Immunotherapy) - 2

면역항암제 주요 기업 현황 2019년 기준, 면역항암제 분야에서 1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린 회사는 8개社로서 주요 기업은 비엠에스(BMS, Bristol-Myers Squibb), 머크(Merck & Co.), 로슈(Roche),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화이자(Pfizer), 노바티스(Novartis), 애브비(AbbVie), 사노피(Sanofi), 길리어드(Gilead Sciences), 존슨 앤 존슨(Johnson&Johnson), 일라이 릴리(Eli Lilly) 및 암젠(Amgen)이고 이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상위 5개사의 매출규모가 전체 매출의 88%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면역항암제 2020년 기준 글로벌 매출 의약품 매출 규모 1위는 애브비의 자가면역치료제인 휴미라..

[제약/바이오] 이중특이항체(Bispecific-Antibody) - 2

이중특이항체(Bispecific-Antibody) 개발동향 ◆ 승인된 이중특이항체 현재 전 세계적으로 승인된 이중항체는 6개이며 블린사이토, 헴리브라, 리브레반트, 바비스모 등 4개는 FDA 승인항목이며 룬수미오(Mosunetuzumab)와 테크베일리(Teclistamab)는 EMA에서만 승인된 이중특이항체이다. '09년 처음 승인된 리무밥(Catumaxomab)은 TrioMab유형의 이중특이항체이며 EpCAM과 CD3를 모두 표적으로 삼아 악성 고형종 양으로 인한 악성 복수를 치료한다. 그러나 회사의 상업적 전략으로 '17년 유럽시장에서 철수하였다. 블린사이토(Blinatumomab)는 인간 T 세포를 통해 백혈병 세포를 치료하기 위해 FDA에 의해 승인된 최초의 이중특이항체 약물이며 2상 임상시험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