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5

2030년 대세 시장은? 항암제 vs. 비만치료제

제약업계에서 유명한 시장조사기관인 Evaluate의 2024 World Preview Report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030년에 어떤 약물과 프로젝트가 대세가 될 것인지에 대한 예측 전망이 담겨있다. 항암제는 비만과 당뇨병 치료제, 특히 노보 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의 상승세로 2030년까지 총 1,00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여 상위 의약품 중 일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만 및 당뇨병 치료제는 릴리의 터제파타이드(Tirzepatide, GLP-1/GIP) 제품인 마운자로(Mounjaro)와 젭바운드(Zepbound), 노보의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GLP-1) 기반 오젬픽(Ozempic), 위고비(Wegovy) 및 최신 후보 약물인 카그리세마(Cagrisema, Amyli..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FDA 승인은?

작년 2023년 HLB의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간암 병용요법으로 FDA에 신청했으나, 2024년 5월 17일 FDA 승인 거절당한 뒤, BLA 재제출 권고받아 재신청을 계획하고 있다고 알려졌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주식시장이 들썩이기도 했는데요. HBL에서는 리보세라닙의 임상 지적사항보단, 중국 내 캄렐리주맙 및 리보세라닙 제조를 담당하는 항서제약에서의 GMP 제조 이슈에 대한 FDA 지적사항이라고 밝혔습니다.  # 요약중국 항서제약의 자회사 선카디아는 FDA로부터 PD-1 억제제 캄렐리주맙과 VEGFR 억제제 리보세라닙 병용요법 허가신청 거절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 10가지 중대한 제조상 문제점을 지적받았습니다. 또한 항서제약 시설에서 생산 중인 리보세라닙도 별도의 FDA 경고장을 받는 등 전반적인 제조 ..

알츠하이머 치료제; 도나네맙(Donanemab) FDA 승인

릴리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키순리'(도나네맙)가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았다. 이 약물은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치료 중단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약물인 '레켐비'와 차별화된다. 키순리는 증상이 있는 초기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며, 투여 후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최소 수준으로 감소했을 때 투약 중단을 고려할 수 있다. 치료 비용은 연간 약 3.2만 달러로, 이는 레켐비보다 높은 수준이지만, 투약 중단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반영된 결과이다. 이로 인해 키순리는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으며,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들은 최대 매출을 50억 달러 이상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알츠하이머병 치료에 필요한 의료 시스템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 ..

[제약/바이오] 근육감소증 (Sarcopenia, DMD)

근육감소증, 사코페니아 (Sarcopenia) 사코페니아(Sarcopenia)는 근육감소증을 의미하는 용어로, 노화에 따라 근육질량이 감소하는 현상을 뜻한다. 이는 근육 섬유의 감소와 근육 섬유 크기의 감소, 또는 근육 조직 내 지방 함량 증가 등이 주요 원인으로, 사코페니아는 노인들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며, 체력 저하, 근력 감소, 균형 장애, 동작 불안정성 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노인들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쓰러지거나 다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러한 상황은 생활 질을 저하시키고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사코페니아는 노화로 인한 근육량 감소가 주된 원인이지만, 노인들뿐만 아니라 어떤 연령층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성 질환, 신체적 불균형, 영양 부족, 운동 부족..

[제약/바이오] 항암제 투약 페러다임, IV에서 SC 제형으로의 변화

면역항암제란 면역항암제는 암세포와 면역계의 상호작용을 조절하여 암세포를 제거하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항암제이다. 면역항암제는 T세포, B세포, NK세포 등 면역계의 세포들을 촉진하거나, 면역조절 단백질인 PD-1, PD-L1, CTLA-4 등을 억제하여 면역계의 반응을 증강시킨다. 면역항암제는 기존의 항암제와는 달리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면역계를 증강시켜 암세포가 면역계에 의해 제거되도록 돕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면역항암제로는 PD-1 억제제인 Pembrolizumab(Keytruda), Nivolumab(Opdivo), Cemiplimab(Libtayo)과 Camrelizumab(AiRuiKa), PD-L1 억제제로는 Atezolizumab(Tecentriq), Durval..

[제약/바이오] 고혈압 치료제 약물 타깃 개발 동향

고혈압 치료제 현재 임상에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ACEI),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 ARB), 칼슘채널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 CCB), 이뇨제 등이 고혈압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치료 중인 환우의 약 32.5%에서만 혈압이 적절하게 조절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임상에서 사용되는 항고혈압제는 고혈압을 유도하는 모든 경로를 타깃으로 하지는 않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반대되는 혈압 조절 기전이 활성화되면서 항고혈압제의 약효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항고혈압제 치료에도 적정 혈압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추가적인 혈압 ..

[제약/바이오] 고혈압 (Hypertension) 치료

고혈압 (hypertension) 고혈압은 혈압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게 만드는 상태를 말하며 혈압은 심장이 수축하는 동안 동맥벽에 가해지는 압력이며, 이는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정상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20mmHg 미만, 이완기 혈압이 80mmHg 미만으로 정의되지만 개인별 신체 상태와 환경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고혈압은 일정 기준치 이상이 지속되는 경우에 한정될 수 있다. 고혈압은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만성 질환으로, 심부전, 뇌졸중, 만성 신장질환 등의 주요한 원인이다. 국내에서도 성인 3명당 1명에서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합병증 및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성인 고혈압의 수많은 케이스에도 불구하고, 그 원인에 대해서는 정확하..

[제약/바이오] 백신 (Vaccine) 치료제

백신 (Vaccine)이란 백신(vaccine)이란, 질병의 예방을 목적으로 병의 원인이 되는 본체나 구성물질의 일부 또는 독소를 적절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특정 질병에 대한 면역력 향상을 위해 투여하는 생물학적 제제를 의미한다. 외부로부터 넣어준 ‘가짜’인 백신을 통해 우리 몸의 면역세포는 항체를 형성하게 되고 이후 감염이 되어도 피해가 없거나 최소화하는 것이 목표이다. 백신의 주요 성분에는 인체가 질병으로 인식할 수 있는 항원, 면역 반응 향상에 도움이 되는 보조제(adjuvant), 백신 효과를 유지하는 방부제, 저장·운송 중 백신을 보호하는 안정제 등이 포함되어 있다. 백신은 15세기 의도적인 천연두 노출을 통한 역사로부터 예방접종의 개념이 시작되어 현재 전 세계적으로 20가지 이상의 백신을 통해 ..

[제약/바이오] CAR-T 치료제 - 2

고형암 표적 CAR-T 치료제 CAR-T 치료제는 지금까지 혈액암을 대상으로 승인받아 시장에 출시되어 왔다. 킴리아, Yescarta, 테카투스, 브레얀지 등 현재 시장에 출시된 4개 치료제 모두 혈액암을 대상으로 한다. T 세포에 대한 표적이기 때문에 고형암을 표적으로 하는 CAR-T 치료제는 아직 시장에 출시되지 않았다. CAR-T 작용기전이 혈액암에서 뛰어난 항암효과를 보여줬지만 고형암에서 면역억제 종양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 TME), 종양세포 이질성(heterogeneity), CAR-T 세포의 전달 및 효과 지속 등 고려해야 할 점이 많기 때문이다. 국가별 임상시험 현황 전 세계적으로 고형암 표적 CAR-T 치료제 임상시험은 198개가 실시되고 있다. 중국이 99개..

[제약/바이오] CAR-T 치료제 - 1

CAR-T Cell 치료제 우리 몸의 면역세포 중 하나인 T세포에 암세포를 항원으로 인식하는 수용체 유전자를 도입하여 암세포를 파괴할 수 있도록 유전자가 재조합된 T세포 치료제로서 건강한 사람 또는 암 환우의 혈액에서 T세포를 추출한 뒤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하여 암세포 특이적 키매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를 발현하도록 한 뒤 재주입하는 방식이다. 기존 CAR-T Cell의 한계점 및 부작용 극복을 위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현재 3세대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진행 중이다. 보조 자극신호 도메인 1개가 추가된 2세대 CAR-T세포에 비해 3세대 CAR-T세포는 보조 자극신호 역할을 하는 신호 도메인 2개와 인공 수용체도 추가되어 항원 인식 능력이 높아져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