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과 암이 공존하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이다. 알츠하이머병은 1907년 독일 정신과 닥터인 알로이스 알츠하이머 (Alois Alzheimer) 박사에 의해 최초로 보고되었고, 매우 서서히 발병하여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특징이다. 초기에는 주로 최근 일에 대한 기억력에서 문제를 보이다가 진행하면서 언어기능이나 판단력 등 다른 여러 인지기능의 이상을 동반하다 결국에는 모든 일상생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알츠하이머병은 그 진행과정에서 인지기능 저하뿐만 아니라 성격변화, 초조행동, 우울증, 망상, 환각, 공격성 증가, 수면 장애 등의 정신행동이 흔히 동반되며 말기에는 경직, 보행 이상 등의 신경학적 장애 또는 대소변 실금, 감염, 욕창 등 신체적인 합병증까지 나타나게 된다.
원인
알츠하이머병의 정확한 발병 기전과 원인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다. 현재 베타 아밀로이드 (beta-amyloid)라는 작은 단백질이 과도하게 만들어져 뇌에 침착되면서 뇌 세포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것이 발병의 핵심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뇌 세포의 골격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타우 단백질(tau protein)의 과인산화, 염증반응, 산화적 스트레스 등도 뇌 세포 손상에 기여하여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뇌 병리 소견인(혹은 노인반)은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침착과 관련되며, 신경섬유다발은 타우 단백질 과인산화와 연관이 있다. 유전적인 요인이 전체 알츠하이머병 발병의 약 40~50%를 설명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직계 가족 중 이 병을 앓은 사람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 발병 위험을 높이는 대표적인 위험 유전자로 아포지단백 E ε4(APOE ε4) 유전자형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연구 결과를 보면 이 유전자형이 없는 사람에 비해 1개 가지고 있을 경우 약 2.7배, 2개 가지고 있는 경우 17.4배 정도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 밖에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 유전자(염색체 21번에 위치), presenilin 1 유전자(염색체 14번에 위치), presenilin 2 유전자(염색체 1번에 위치) 등에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 가족적으로 알츠하이머병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시기는 알기가 어렵다.
치료제
알츠하이머 치료제로써 승인된 최초의 약물은 '아두카두맙(성분명 aduhelm)'이 있다. 미국 FDA는 2023년 1월 6일, 미국 바이오젠과 일본 에자이가 공동 개발한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켐비(성분명 레카네맙)'에 대해 가속 승인하였다.
- 레카네맙은 알츠하이머 치료제로써, 첫 번째로 승인된 약물인 '아두카두맙(상품명 aduhelm)'에 이어 두 번째로 승인된 약물이다. 논란이 되었던 아두카누맙에 이어 가속 승인되었는데, 가속 심사란 중증 질환이나 아직까지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는 (희귀) 질환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이 끝나기 전에 조건부 허가를 내주는 제도를 말한다. 희귀 질환인 경우엔 가속 승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 레카네맙은 2022년 11월 발표된 알츠하이머병 초기단계(경도인지장애 또는 경도치매)가 있는 시험자로 진행한 임상 3상 시험 결과에서 임상치매평가척도 점수를 측정한 결과, 치료 18개월 동안 인지 및 기능 저하를 27% 지연시키는 데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뇌부종, 뇌출혈 등을 뜻하는 아밀로이드 관련 영상 이상(ARIR) 발생률이 약 10%로, 아두카누맙 대비 40% 개선된 것으로 알려졌다.
- 레카네맙 역시 임상과정에서 3명의 시험자가 사망해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미국 공공의료보험기관(CMS)은 최근 자료를 배포하고 레카네맙이 FDA의 정식 승인을 받기 전까지는 보험 적용 범위를 확대할 수 없다고 언급한 바 있지만, 초기 시장 점유율 확대엔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아두카누맙은 효과 논란에 휩싸인 상태이며, 경쟁 약물의 경우 최근 FDA가 가속 승인을 거절(도나네맙)했기 때문이다.
- 미국 정부의 임상시험등록사이트 clinicaltrial.gov에 따르면 2022년 1월 기준 알츠하이머병 치료를 위해 143개 신약 후보물질에 대해 172개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임상 1상에 30개 물질 31개 임상시험, 2상에 82개 물질 94개 임상시험, 3상에 31개 물질 47개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레카네맙 가속 승인으로 임상 3상에 있는 물질들의 가속 승인 신청이 잇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참조 문서]
1. SNUH N의학정보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2. 한국바이오협회 [이슈 브리핑] 알츠하이머 치료제
'제약·바이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약/바이오] 이중특이항체(Bispecific-Antibody) - 2 (0) | 2023.02.23 |
---|---|
[제약/바이오] 이중특이항체 (Bispecific antibody) - 1 (0) | 2023.02.23 |
[제약/바이오] 글로벌 세포·유전자치료제 시장 동향 (0) | 2023.02.23 |
[제약/바이오] 비만치료제 개발 동향 (0) | 2023.02.21 |
[제약/바이오] 항암제 종류 (0) | 2023.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