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5

[제약/바이오] 황반변성치료제 시장 및 기술개발 동향 - 2

황반변성 치료법 황반변성은 완전한 치유가 어렵기 때문에 치료법은 대부분 황반변성을 완화나 진행 억제를 목적으로 한다. 치료법은 황반변성의 유형(건성 황반변성, 습성 황반변성)과 진행 정도에 따라 치료법으로 사용하면 된다. 건성 황반변성 치료법 건성 황반변성의 경우 현재까지 치료법이 개발되지 않았으며, 적절한 예방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영양제와 식이조절, 긴장을 덜어주는 안경, 조명 등을 이용하여 완화가 가능하다. 특히, 비타민 C, E, 아연, 오메가-3 지방산 등을 포함하는 식이 요법이 권장된다. 습성 황반변성 치료법 습식 황반변성은 망막 내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성장하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습식 황반변성의 진행을 억제하는 치료법은 아래와 같다. 광역학/현탁제 치료 : 황반 부위로 현탁제와 같은 ..

[제약/바이오] 황반변성치료제 시장 및 기술개발 동향 - 1

황반변성이란 황반(macula)은 눈 안쪽 망막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시세포의 대부분이 모여 있는 신경 조직이다. 시력의 90% 이상을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부위로서 황반 중심 부근에는 물체의 상이 맺히는 특징을 지닌다. 시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황반에 변성이 생기는 것을 황반변성(Macular Degeneration)이라고 하며, 특히 노화에 의해 생기는 것을 노인성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과 어린이나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유전성 황반변성(Disciform Macular Degeneration, DMD)으로 나뉜다. 황반변성 발병 요인 황반변성이 발병하는 주요 원인에는 연령 증가가 있으며, 이외에는 흡연, 유전적 요인, 심혈관 및 전신적 질..

[제약/바이오] 바이오베터 (Biobetter) 개발 동향 - 3

바이오베터의 개발 및 임상동향 신약, 바이오시밀러, 바이오베터의 규제 승인(Regulatory approval)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품질, 안전성 및 효능 측면을 강조하는 반면, 바이오베터는 법적 또는 규제적 제약이 없다. 바이오베터는 바이오시밀러와 같이 특허 만료를 기다릴 필요는 없지만, 신약과 동일한 규제의 지침을 따르기 때문에, 임상개발 비용이 클 수 있다. 바이오시밀러와 바이오베터는 개발 기간 및 단계별 제품의 성공 확률이 다르다. 바이오시밀러는 전임상전 임상 단계에서 성공률(95%)이 가장 높은 반면, 바이오베터는 전 임상 단계에서의 성공률(85%)이 바이오 신약과 유사한 수준이다. 그러나, 바이오베터는 신약보다 임상 1상에서의 성공 가능성이 높고, 작용기전으로서의 약물이 이미 임상적으로 검증..

[제약/바이오] 바이오베터 (Biobetter) 개발 동향 - 2

지속형 바이오 베터(Biobetter)의 기술 1. PEGylation PEGylation 기술은 바이오 의약품에 생체적합성 고분자인 PEG(Polyethyleneglycol)라는 폴리머를 화학적으로 공유결합시키는 기술이다. 페길레이션은 약물동역학(Pharmacokinetics)을 개선하고 독성 및 면역원성을 감소시킨다는 측면에서 단백질 의약품(Protein drugs)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며, 바이오 의약품(Biologics)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새로운 폴리머들을 활용한 연구가 많이 진행 중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PEGylation 은 여전히 가장 좋은 임상 실적(Clinical Record)을 가지는 기술로 인정된다. 시장에서 PEGylation 기술을 활용한 바이오베터 제품 수..

[제약/바이오] 바이오베터 (Biobetter) 개발 동향 - 1

바이오시밀러보다 개선된 제품인 바이오베터 바이오베터(Biobetter)와 바이오시밀러(Biosimilar)는 모두 후속 바이오의약품으로 (Follow-on biologics) 속한다. 기존 생물학적 제제는 대부분 단백질 형태의 큰 분자로, 복잡한 생산과정과 비싼 금액으로 인해 접근성이 낮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바이오시밀러가 등장했으며, 이는 기존 생물학적 제제와 유사한 효능과 안전성을 가지면서도 저렴한 금액으로 생산될 수 있는 제품이다. 바이오시밀러는 기존 제품과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효능이나 안전성에 대한 불안정성도 존재하여 바이오베터는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여 기존 바이오시밀러의 약효와 투여방법, 빈도, 부작용 등을 개선한 의약품이다. 바이오시밀러와 달리 의약품 개발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

[제약/바이오] ADC 치료제 (Antibody Drug Conjugates) - 2

ADC 치료 기술의 장점 및 단점 이전 포스팅을 통해 설명하였지만, ADC는 항체와 항암제를 결합시켜, 항체의 표적이 되는 종양세포에 대해 항암제를 전달하는 기술로써 종양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특정 단백질에 결합하여 종양세포를 표적으로 한다. 이때 항체의 선택적인 결합력은, 선별적으로 종양세포만을 대상으로 하여 주변 정상세포를 손상시키지 않게 한다. ADC 기술은 항암제를 항체에 결합시켜, 항체가 선택적으로 결합한 종양세포 내부로 항암제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항암제의 치료효과를 증대시키면서도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ADC 기술의 장점은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표적 하는 항체와 항암제의 효과를 결합하여 항암제의 치료효과를 증대시키면서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지만 ADC 항체 치료에서도 일부 독성 및..

[제약/바이오] ADC 치료제 (Antibody Drug Conjugate) - 1

ADC 치료제란 항체와 약물의 결합이라고 알려진 ADC(Antibody-Drug Conjugate)는 항체와 항암제를 결합시켜, 항체의 표적이 되는 종양세포에 대해 항암제를 전달하는 기술로써 종양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특정 단백질에 결합하여 종양세포를 표적으로 한다. 이때 항체의 선택적인 결합력은, 선별적으로 종양세포만을 대상으로 하여 주변 정상세포를 손상시키지 않게 한다. ADC 기술은 항암제를 항체에 결합시켜, 항체가 선택적으로 결합한 종양세포 내부로 항암제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항암제의 치료효과를 증대시키면서도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ADC는 체내 순환 시 혈액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치료 타깃에 정확하게 도달하여 페이로드를 방출하도록 고안된다. 표적 항원 및 항체 발굴, 링커의 최적화, 적절한 ..

[제약/바이오] 면역항암제 (Cancer Immunotherapy) - 2

면역항암제 주요 기업 현황 2019년 기준, 면역항암제 분야에서 1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린 회사는 8개社로서 주요 기업은 비엠에스(BMS, Bristol-Myers Squibb), 머크(Merck & Co.), 로슈(Roche),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화이자(Pfizer), 노바티스(Novartis), 애브비(AbbVie), 사노피(Sanofi), 길리어드(Gilead Sciences), 존슨 앤 존슨(Johnson&Johnson), 일라이 릴리(Eli Lilly) 및 암젠(Amgen)이고 이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상위 5개사의 매출규모가 전체 매출의 88%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면역항암제 2020년 기준 글로벌 매출 의약품 매출 규모 1위는 애브비의 자가면역치료제인 휴미라..

[제약/바이오] 면역항암제 (Cancer Immunotherapy) - 1

면역항암제의 정의 및 종류 면역항암제는 암세포가 인체의 면역체계를 회피하지 못하도록 만들거나 암세포를 더 잘 인식하여 공격하도록 하는 약물로서, 표적치료제와 달리 특정한 표적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적용 가능하고 인체의 면역체계를 통해 작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항암제들 이 가졌던 부작용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면역항암제는 크게 4종류인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 면역세포치료제(immune cell), 치료용 항체(therapeutic antibody)와 항암백신(anticancer vaccine)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중 가장 대표적 면역항암제로 알려진 면역관문억제제는 T세포 억제에 관여하는 면역체크포인트 단백질(immune checkpoint protein)..

[제약/바이오] 이중특이항체(Bispecific-Antibody) - 2

이중특이항체(Bispecific-Antibody) 개발동향 ◆ 승인된 이중특이항체 현재 전 세계적으로 승인된 이중항체는 6개이며 블린사이토, 헴리브라, 리브레반트, 바비스모 등 4개는 FDA 승인항목이며 룬수미오(Mosunetuzumab)와 테크베일리(Teclistamab)는 EMA에서만 승인된 이중특이항체이다. '09년 처음 승인된 리무밥(Catumaxomab)은 TrioMab유형의 이중특이항체이며 EpCAM과 CD3를 모두 표적으로 삼아 악성 고형종 양으로 인한 악성 복수를 치료한다. 그러나 회사의 상업적 전략으로 '17년 유럽시장에서 철수하였다. 블린사이토(Blinatumomab)는 인간 T 세포를 통해 백혈병 세포를 치료하기 위해 FDA에 의해 승인된 최초의 이중특이항체 약물이며 2상 임상시험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