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정보 22

[제약/바이오] 바이오베터 (Biobetter) 개발 동향 - 2

지속형 바이오 베터(Biobetter)의 기술 1. PEGylation PEGylation 기술은 바이오 의약품에 생체적합성 고분자인 PEG(Polyethyleneglycol)라는 폴리머를 화학적으로 공유결합시키는 기술이다. 페길레이션은 약물동역학(Pharmacokinetics)을 개선하고 독성 및 면역원성을 감소시킨다는 측면에서 단백질 의약품(Protein drugs)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며, 바이오 의약품(Biologics)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새로운 폴리머들을 활용한 연구가 많이 진행 중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PEGylation 은 여전히 가장 좋은 임상 실적(Clinical Record)을 가지는 기술로 인정된다. 시장에서 PEGylation 기술을 활용한 바이오베터 제품 수..

[제약/바이오] 바이오베터 (Biobetter) 개발 동향 - 1

바이오시밀러보다 개선된 제품인 바이오베터 바이오베터(Biobetter)와 바이오시밀러(Biosimilar)는 모두 후속 바이오의약품으로 (Follow-on biologics) 속한다. 기존 생물학적 제제는 대부분 단백질 형태의 큰 분자로, 복잡한 생산과정과 비싼 금액으로 인해 접근성이 낮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바이오시밀러가 등장했으며, 이는 기존 생물학적 제제와 유사한 효능과 안전성을 가지면서도 저렴한 금액으로 생산될 수 있는 제품이다. 바이오시밀러는 기존 제품과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효능이나 안전성에 대한 불안정성도 존재하여 바이오베터는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여 기존 바이오시밀러의 약효와 투여방법, 빈도, 부작용 등을 개선한 의약품이다. 바이오시밀러와 달리 의약품 개발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

[제약/바이오] ADC 치료제 (Antibody Drug Conjugates) - 2

ADC 치료 기술의 장점 및 단점 이전 포스팅을 통해 설명하였지만, ADC는 항체와 항암제를 결합시켜, 항체의 표적이 되는 종양세포에 대해 항암제를 전달하는 기술로써 종양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특정 단백질에 결합하여 종양세포를 표적으로 한다. 이때 항체의 선택적인 결합력은, 선별적으로 종양세포만을 대상으로 하여 주변 정상세포를 손상시키지 않게 한다. ADC 기술은 항암제를 항체에 결합시켜, 항체가 선택적으로 결합한 종양세포 내부로 항암제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항암제의 치료효과를 증대시키면서도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ADC 기술의 장점은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표적 하는 항체와 항암제의 효과를 결합하여 항암제의 치료효과를 증대시키면서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지만 ADC 항체 치료에서도 일부 독성 및..

[제약/바이오] ADC 치료제 (Antibody Drug Conjugate) - 1

ADC 치료제란 항체와 약물의 결합이라고 알려진 ADC(Antibody-Drug Conjugate)는 항체와 항암제를 결합시켜, 항체의 표적이 되는 종양세포에 대해 항암제를 전달하는 기술로써 종양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특정 단백질에 결합하여 종양세포를 표적으로 한다. 이때 항체의 선택적인 결합력은, 선별적으로 종양세포만을 대상으로 하여 주변 정상세포를 손상시키지 않게 한다. ADC 기술은 항암제를 항체에 결합시켜, 항체가 선택적으로 결합한 종양세포 내부로 항암제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항암제의 치료효과를 증대시키면서도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ADC는 체내 순환 시 혈액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치료 타깃에 정확하게 도달하여 페이로드를 방출하도록 고안된다. 표적 항원 및 항체 발굴, 링커의 최적화, 적절한 ..

[제약/바이오] 면역항암제 (Cancer Immunotherapy) - 2

면역항암제 주요 기업 현황 2019년 기준, 면역항암제 분야에서 1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린 회사는 8개社로서 주요 기업은 비엠에스(BMS, Bristol-Myers Squibb), 머크(Merck & Co.), 로슈(Roche),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화이자(Pfizer), 노바티스(Novartis), 애브비(AbbVie), 사노피(Sanofi), 길리어드(Gilead Sciences), 존슨 앤 존슨(Johnson&Johnson), 일라이 릴리(Eli Lilly) 및 암젠(Amgen)이고 이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상위 5개사의 매출규모가 전체 매출의 88%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면역항암제 2020년 기준 글로벌 매출 의약품 매출 규모 1위는 애브비의 자가면역치료제인 휴미라..

[제약/바이오] 면역항암제 (Cancer Immunotherapy) - 1

면역항암제의 정의 및 종류 면역항암제는 암세포가 인체의 면역체계를 회피하지 못하도록 만들거나 암세포를 더 잘 인식하여 공격하도록 하는 약물로서, 표적치료제와 달리 특정한 표적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적용 가능하고 인체의 면역체계를 통해 작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항암제들 이 가졌던 부작용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면역항암제는 크게 4종류인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 면역세포치료제(immune cell), 치료용 항체(therapeutic antibody)와 항암백신(anticancer vaccine)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중 가장 대표적 면역항암제로 알려진 면역관문억제제는 T세포 억제에 관여하는 면역체크포인트 단백질(immune checkpoint protein)..

[제약/바이오] 이중특이항체(Bispecific-Antibody) - 2

이중특이항체(Bispecific-Antibody) 개발동향 ◆ 승인된 이중특이항체 현재 전 세계적으로 승인된 이중항체는 6개이며 블린사이토, 헴리브라, 리브레반트, 바비스모 등 4개는 FDA 승인항목이며 룬수미오(Mosunetuzumab)와 테크베일리(Teclistamab)는 EMA에서만 승인된 이중특이항체이다. '09년 처음 승인된 리무밥(Catumaxomab)은 TrioMab유형의 이중특이항체이며 EpCAM과 CD3를 모두 표적으로 삼아 악성 고형종 양으로 인한 악성 복수를 치료한다. 그러나 회사의 상업적 전략으로 '17년 유럽시장에서 철수하였다. 블린사이토(Blinatumomab)는 인간 T 세포를 통해 백혈병 세포를 치료하기 위해 FDA에 의해 승인된 최초의 이중특이항체 약물이며 2상 임상시험에서..

[제약/바이오] 이중특이항체 (Bispecific antibody) - 1

이중특이항체 (Bispecific antibody)의 유형 2개의 상이한 중쇄 및 경쇄로 구성되며 Fc 영역의 존재에 따라 IgG 유사 분자(Fc 단편 포함)와 단편 기반 분자(Fc 단편 없음)의 두 가지 주요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분자량이 큰 IgG 유사 이중특이항체는 용해도 및 안정성을 향상하며 혈청 반감기와 친화력을 증가해 생물학적 활성을 향상한다. 단편 기반 이중특이항체는 Fc 단편이 없기 때문에 항원 결합을 통해서만 치료효과가 있으며 생산하기 쉽고 면역원성이 낮다. 1) Quadroma Quadroma 기술은 원하는 특이성을 지닌 단일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두 개의 다른 하이브리도마 세포의 융합을 기반으로 한다. 두 개의 다른 Ab의 중쇄 및 경쇄가 결합되어 Fc에 의해 매개되는 효..

[제약/바이오] 글로벌 세포·유전자치료제 시장 동향

세포·유전자치료제 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제를 포함하는 바이오의약품은 국가별로 정의를 내리고 있으나 그 정의가 통일된 것은 아니며, 나라별 정의와 규율이 다르다. 세포치료제는 세포의 조직과 기능을 복원시키기 위하여 살아있는 자가(autologous), 동종(allogenic), 또는 이종(xeno-geneic) 세포를 체외에서 증식·선별하거나 여타 한 방법으로 세포의 생물학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등의 일련의 행위를 통해 치료 및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을 말한다. 세포 종류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유전자 변형 유무를 기준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유전자치료제는 말 그대로 유전자를 조작하여 만든 치료제이다. 유전자 재조합 등의 유전자 조작을 이용하여 정상 유전자 및 치료 유전자를 시험자의 세포 안으로..

[제약/바이오]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 동향

명과 암이 공존하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이다. 알츠하이머병은 1907년 독일 정신과 닥터인 알로이스 알츠하이머 (Alois Alzheimer) 박사에 의해 최초로 보고되었고, 매우 서서히 발병하여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특징이다. 초기에는 주로 최근 일에 대한 기억력에서 문제를 보이다가 진행하면서 언어기능이나 판단력 등 다른 여러 인지기능의 이상을 동반하다 결국에는 모든 일상생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알츠하이머병은 그 진행과정에서 인지기능 저하뿐만 아니라 성격변화, 초조행동, 우울증, 망상, 환각, 공격성 증가, 수면 장애 등의 정신행동이 흔히 동반되며 말기에는 경직, 보행 이상 등의 신경학적 장애 또는 대소..